카테고리 없음

전체문화, 하위문화, 반문화 : 사회문화 3단원

Sui​ 2019. 10. 23. 12:09
안녕하세요 수이입니다.

이 부분은 전체문화, 하위문화, 반문화의 개념과
각 개념의 특징 그리고 공통점에 유의해야 합니다.

먼저 3개의 공통점은
-사회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된다
 :a국가에서 전체문화인 문화가 b문화에서는 반문화일수도 있습니다.
-해당 문화를 공유하는 구성원들 공통의 정체성 형성
 :해당 문화를 공유하는 구성원들끼리 하나의 정체성, 내가 이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이다! 같은 것이 생긴다는 말입니다.
-사회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다
 :c국가에서 하위문화였던 문화가 혁명으로 인해 전체문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.

각 전체문화 하위문화 반문화의 개념을 몰라서 뭔소린가 하셨을 수도 있는데,
일단 공통점을 먼저 보는게 좋아서 먼저 설명을 했습니다.
지금부터 각 개념을 설명해 드릴테니, 읽고 다시한번 전체적인 공통점을 정리해 주세요.

1. 전체문화 : 구성원 전원이 공유
하위문화를 전부 다해서 전체문화가 되는 것이 아니고,
하위문화들의 교집합이 전체문화입니다.
기출 선지중 전체문화는 하위문화의 총합으로 설명할 수 없다 선지가 있습니다.
그림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직접 그린겁니다.


구성원의 범위는 당연히 전체문화가 가장 많습니다.
개념상 구분 그림에 집중해 주세요.

전체문화는 전체 사회에서 공유성을 갖고, 하위문화는 그 문화를 향유하는 집단 내에서만 공유성을 가집니다.

2. 하위문화 : 사회의 일부 구성원들만 공유하여 다른 구성원들과 구분되는 행동 양식
공유하는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알려줌
공유하는 구성원들에게 중요한 삶의 양식이 됨
세대간의 이질성을 강화시킴
대체로 전체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성격을 지님

3. 반문화 : 그 사회의 지배문화에 저항하거나 대립하는 문화
반문화는 전체문화와 교집합이 없다  는 틀린 선지입니다. 교집합 있습니다.
반문화를 구성하는 구성원은 전체문화의 문화 요소 중 일부 를 공유합니다.
하위문화의 일종이고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성격

이제 위로 올라가서 전체 공통점을 다시한번 봐 주시고,
이번에는 반문화와 하위문화의 공통점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-집단 간 갈등을 초래하여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(항상 그러는 것은 아님, 그럴 수 있다)
-사회 변화에 따라 전체문화가 되기도 한다 (전체 공통점과 중복되는 내용인데, 선지에서 이렇게 단어 하나하나 바뀌어서 나오면 답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꼭 단어를 하나하나 보도록 합시다)
-주류 집단에 의해 일탈로 규정되기도 한다
-전체 사회문화에 다양성을 제공
-상대적으로 규정 : 전체 공통점이였는데요, 무엇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규정되느냐가 앞에 붙는데,
전체 사회 범주를 어떻게 구성하느냐, 반문화를 규정하는 집단, 시대나 사회 배경
등등 다양하게 붙습니다. 꼭 한번 읽고 내가 보는 범위가 맞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이 부분에서 주의할 점은
정확한 개념 : 범위 구분
공통점을 보고 ㅇㅇ문화와 ㅇㅇ문화의 차이이다 라고 고르면 안된다
따라서 공통점을 숙지
이정도 입니다.
그렇게 어렵진 않으나 주의해야 할 점이 많은 부분입니다.

질문은 댓글에 남겨주세요